Skip to main content

카카오클라우드 영문 콘솔 지원 소식 (English console is now available!)

· 3 min read
Mia (정혜원)
Technical Contents Manager
KakaoCloud Releases English Console

안녕하세요? 카카오클라우드 사용자 여러분!

오늘 카카오클라우드 콘솔에 언어 설정 기능이 추가되면서, 영문 콘솔 서비스가 시작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기술문서에 영문 가이드가 함께 제공됩니다.

사용자는 콘솔에 새로 추가된 언어 설정 탭을 통해, 한국어 및 영어, 브라우저 기본값 옵션 중 선택할 수 있습니다. 콘솔에서 언어를 선택하는 자세한 방법은 콘솔 언어 설정 가이드를 참고해 주세요. 기술문서의 경우, 상단 메뉴의 언어 설정 탭을 통해 한국어, 영어 중 원하는 언어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번 개선 사항은 콘솔의 주요 화면과 서비스에 적용되었습니다. 대시 보드, 설정, BCS (Virtual Machine, Bare Metal Server, GPU) 서비스, VPC, Transit Gateway, IAM에 우선 적용되었으며, 향후 모든 부분에서 사용자들의 편의를 고려한 다국어 지원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Kubeflow로 구현하는 MLOps 워크플로우

· 13 min read
Update Kubeflow


안녕하세요. 이 포스트에서는 머신러닝 운영의 핵심 플랫폼인 Kubeflow를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Kubeflow는 머신러닝의 복잡성을 해소하고, 데이터 과학자 및 개발자가 보다 쉽게, 더 빠르게 머신러닝 모델을 개발하고 배포할 수 있도록 설계된 오픈 소스 프로젝트입니다. Kubeflow 공식 사이트에서 Kubeflow를 소개하는 첫 문장을 보면, "쿠버네티스(Kubernetes) 위에서 머신러닝을 위한 다양한 오픈 소스들을 종합적으로 관리하고 운영하는데 도움을 주는 프로젝트"라는 부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과거 Google이 내부적으로 사용하던 TensorFlow Extended(TFX)에서 출발한 Kubeflow는 현재 쿠버네티스 기반의 다양한 환경에서 머신러닝 워크플로우를 실행할 수 있는 가장 널리 알려진 엔드-투-엔드 솔루션으로 확장되었습니다.

버스터블 기능을 탑재한 t1i 인스턴스

· 11 min read
Sandy (차신영)
Technical Contents Manager
New Release t1i


안녕하세요, BCS(Beyond Compute Service) 인스턴스 패밀리의 새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카카오클라우드는 작년 9월 t1i 버스터블(Burstable) 인스턴스를 출시했는데요. 이 포스팅에서는 t1i 인스턴스에 2024년 1월 25일부터 적용된 크레딧 기능과 버스터블 성능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t1i 인스턴스 이해하기

버스터블 기능을 자세히 살펴보기 전에, 먼저 카카오클라우드 Beyond Cloud Compute(BCS)의 t1i 인스턴스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카카오클라우드 범용 인스턴스의 한 종류인 t1i 인스턴스는 지속적으로 높은 CPU 성능을 요구하지는 않지만, 특정 상황에서 높은 성능을 발휘해야 하는 워크로드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이 인스턴스는 크레딧으로 제어되는 버스트 가능한 CPU 성능을 제공하여 높은 성능과 비용 사이에서 적절한 균형을 제공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BCS 신규 인스턴스 p1i, m3az 출시

· 4 min read
Mia (정혜원)
Technical Contents Manager
안내

아래 내용은 2023년 12월 기준으로 작성된 p1im3az 인스턴스의 출시 소식입니다. 카카오클라우드 Beyond Compute Service의 최신 정보는 인스턴스 유형별 사양 문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BCS(Beyond Compute Service) 인스턴스 패밀리의 새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카카오클라우드에서는 사용자 여러분의 다양한 워크로드 사양에 더욱 부합하는 BCS 인스턴스 유형을 계속해서 소개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최근 출시된 가속 컴퓨팅을 지원하는 p1i와 범용 인스턴스 m3az 패밀리를 소개합니다.


1. 고성능 컴퓨팅을 위한 p1i 인스턴스

p1i는 머신 러닝 및 HPC 등 고성능 컴퓨팅에 최적화된 인스턴스 패밀리입니다. Gold 5120 스카이레이크 인텔 제온 스케일러블 프로세서를 탑재했으며, 최대 56개의 vCPU 및 512 GiB 메모리를 지원합니다. p1i 인스턴스는 현재 베어메탈서버 유형으로 제공되고 있으며, 최대 4개의 NVIDIA V100 Tensor Core GPU가 제공됩니다.

Hadoop Eco Dataflow 클러스터 제공

· 6 min read
Sandy (차신영)
Technical Contents Manager
안내

아래 내용은 2023년 12월 기준으로 작성된 Hadoop Eco 서비스의 설명글입니다. 카카오클라우드 Hadoop Eco 서비스의 최신 정보는 Hadoop Eco 문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세계적인 정보 기술(IT) 연구 및 컨설팅 기업인 Gartner는 매년 Data & Analysis(D&A) 트렌드를 연구하여 발표하고 있습니다.
올해 Gartner가 발표한 보고서(Gartner Identifies the Top 10 Data and Analytics Trends for 2023)를 보면, 데이터/분석팀은 데이터 리소스를 관리하고 그 안에서 인사이트를 창출하는 '그 이상'을 수행해야 한다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그저 방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넘어서, '올바른 데이터를 적절한 툴을 이용하여 적절한 시점에 수집하고, 여기서 사업적인 인사이트를 도출'하는 것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기업의 데이터/분석팀은 가치 최적화(Value optimization), 데이터 공유(Data Sharing), 데이터 관찰(Observability), 데이터 및 분석 지속성(Data & analytics sustainability), 데이터 패브릭(Data fablic) 등의 트렌드를 따라야 한다고 제시합니다.

Network Load Balancer TLS 리스너 및 Access Log 활성화 기능 추가

· 4 min read
Romy (이새롬)
Technical Contents Manager
안내

아래 내용은 2023년 11월 기준으로 작성된 Load Balancing 서비스의 신규 기능 배포 소식입니다. 카카오클라우드 Load Balancing 서비스의 최신 정보는 Load Balancing 문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카카오클라우드 Load Balancing 서비스에 대한 두 가지 주요 릴리즈 내용을 소개해 드립니다.

1. Network Load Balancer(NLB)에서 TLS 리스너 추가

카카오클라우드의 로드 밸런서 유형 중 NLB 리스너(Listener) 프로토콜TLS가 추가되었습니다.

TLS 프로토콜 선택 TLS 프로토콜 선택

Object Storage 스토리지 뷰어 역할 추가

· 4 min read
Sandy (차신영)
Technical Contents Manager
안내

아래 내용은 2023년 10월 기준으로 작성된 Object Storage 서비스의 신규 기능 배포 소식입니다. 카카오클라우드 Object Storage 서비스의 최신 정보는 Object Storage 문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Object Storage 권한 체계 변경 사항을 안내드립니다.

Object Storage의 권한 체계는 IAM 권한 체계와 약간 다릅니다. IAM과 달리 Object Storage는 버킷에 대한 권한 설정 뿐만 아니라 개별 객체에 대한 권한을 설정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역할이 구분되어 있습니다.

이번 릴리즈에서는 ‘스토리지 뷰어’ 역할이 Object Storage 권한 설정에 추가되었습니다. 이 역할은 버킷의 메타데이터 정보와 객체 메타데이터를 볼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습니다.

이번 변경 사항으로 IAM 역할에서 ‘프로젝트 리더’ 권한을 가진 사용자는 Object Storage에서 ‘스토리지 뷰어’의 권한을 갖게 됩니다. 또한, IAM 역할에서 ‘프로젝트 관리자’는 Object Storage 역할에서 ‘스토리지 관리자’의 권한을 가지게 되며, ‘프로젝트 멤버’는 ‘스토리지 편집자’의 권한이 부여됩니다. 이 부분은 기존과 동일합니다.

Transit Gateway 공유 기능 출시

· 4 min read
Romy (이새롬)
Technical Contents Manager
안내

아래 내용은 2023년 10월 기준으로 작성된 Transit Gateway 서비스의 신규 기능 배포 소식입니다. 카카오클라우드 Transit Gateway 서비스의 최신 정보는 Transit Gateway 문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Transit Gateway 서비스에 프로젝트 간 Transit Gateway를 공유할 수 있는 ‘공유’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Transit Gateway 서비스의 공유 기능을 통해, 이제 Transit Gateway를 프로젝트 간 공유하여 서로 다른 프로젝트 VPC 간의 통신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A, B 두 개의 프로젝트를 사용하는 경우를 가정하겠습니다. 기존에 이 조직의 관리자는 각각의 프로젝트에 Transit Gateway를 두고 해당 프로젝트의 VPC를 관리했습니다. 하지만 이 공유 기능을 이용하게 되면서 A 프로젝트의 Transit Gateway를 B 프로젝트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두 프로젝트의 모든 VPC를 공유된 ‘하나의 Transit Gateway’에서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는것이죠.

Kubernetes Engine에서 Bare Metal Server 노드 제공

· 3 min read
Mia (정혜원)
Technical Contents Manager
안내

아래 내용은 2023년 10월 기준으로 작성된 Kubernetes Engine 서비스의 신규 기능 배포 소식입니다. 카카오클라우드 Kubernetes Engine 서비스의 최신 정보는 Kubernetes Engine 문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카카오클라우드 관리형 쿠버네티스 서비스인 Kubernetes Engine에서 Bare Metal Server 노드를 제공합니다.

이제 카카오클라우드 사용자는 콘솔에서 Virtual Machine, GPU, Bare Metal Server의 세 가지 노드 풀 유형 중 선택하여 노드 풀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Kubernetes Engine 서비스에서 Bare Metal Server 노드를 사용하는 방법을 다음과 같습니다.

  1. 카카오클라우드 콘솔에서 Kubernetes Engine 서비스를 선택합니다.
  2. Cluster 탭에서 노드 풀을 생성할 클러스터를 선택합니다. 만약 아직 생성된 클러스터가 없다면, 클러스터 생성을 먼저 진행합니다.
  3. 클러스터의 상세 페이지에서 노드 풀 탭을 클릭 후, 오른쪽 버튼의 [노드 풀 생성]를 클릭합니다.
  4. [노드 풀 생성] 화면에서 아래와 같이 노드 풀 유형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이미지

  1. Bare Metal Server 유형을 선택 후 설정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여 간편하게 노드 풀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최근 Kubernetes Engine 서비스 개선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멀티 가용 영역 클러스터의 고가용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신규 클러스터 생성 시 각 가용 영역별 최소 1개 이상의 서브넷을 필수 선택이 필수 적용 (kr-central-2 적용)
  • 신규 생성된 클러스터의 API 서버 엔드포인트가 443 포트로 변경 (kr-central-1 적용)

더 많은 Kubernetes Engine 서비스에 대한 정보는 기술문서에서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더욱 안전하고 편리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더욱 안전하고 편리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