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가용성 그룹
BNS Load Balancing 서비스는 고가용성을 보장하기 위해 고가용성 그룹(High Availability Group) 기능을 제공합니다. 고가용성 그룹으로 미리 생성한 Application Load Balancer(ALB), Network Load Balancer(NLB), Direct Server Return Network Load Balancer(DSRNLB) 노드를 리전 내 가용 영역 수만큼 묶어 고가용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고가용성 그룹
고가용성 그룹을 생성할 때 체계와 유형, VPC를 선택하게 되며, 이 조건에 맞는 로드 밸런서 노드(ALB, NLB, DSRNLB 등)를 가용 영역 별로 연결하여 고가용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체계는 퍼블릭 IP 주소를 갖고 인터넷을 통해 통신할 수 있는 인터넷 경계
와 프라이빗 서브넷에 연결된 로드 밸런서 노드 간 고가용성을 보장하는 내부
중 하나를 선택하게 되며, 유형은 로드 밸런서의 유형(ALB, NLB, DSRNLB 등)을 의미합니다. VPC를 선택하게 되면 해당 VPC 내 각 가용 영역 별로 생성되어 있는 서브넷마다 1개의 로드 밸런서 노드를 선택하게 됩니다.
고가용성 그룹에는 최소 1개 이상의 로드 밸런서 노드를 연결 가능하며, 고가용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2개 이상의 로드 밸런서 노드를 연결하는 것이 추천됩니다.
로드 밸런서 노드
카카오클라우드 콘솔 > Beyond Networking Service > Load Balancing > 로드 밸런서 메뉴를 통해 생성한 모든 유형의 로드 밸런서를 지칭하며, Application Load Balancer, Network Load Balancer, Direct Server Return Network Load Balancer가 이에 해당됩니다. 고가용성 그룹이 생성될 때 지정된 유형, 체계와 일치하는 로드 밸런서 노드는 하나의 고가용성 그룹에 연결될 수 있으며, 고가용성 그룹과 동일한 VPC 내 여러 가용 영역에 있는 프라이빗 또는 퍼블릭 서브넷에서 연결됩니다. 하나의 가용 영역에서 최대 1개의 로드 밸런서 노드가 연결될 수 있으며, 고가용성 그룹을 통해 고가용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서로 다른 가용 영역의 최소 2개 이상의 로드 밸런서 노드가 연결되어야 합니다. 이미 다른 고가용성 그룹에 연결되어 있는 로드 밸런서 노드는 퍼블릭 IP 연결 또는 연결 해제, 삭제 작업을 수행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려면 고가용성 그룹에서 해당 로드 밸런서 노드의 연결을 해제해야 합니다. 로드 밸런서 노드 단독으로도 로드 밸런서 기능은 수행할 수 있으나, 고가용성 보장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에서는 동일하게 설정된 2개 이상의 로드 밸런서 노드를 고가용성 그룹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고가용성 그룹 요구사항
고가용성 그룹을 생성한 후 고가용성이 보장된 로드 밸런서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요구사항을 만족해야 합니다.
- 고가용성 그룹에 2개 이상의 로드 밸런서 노드가 연결되어야 합니다. 고가용성 그룹은 최소 1개의 로드 밸런서 노드를 연결하여 생성할 수 있습니다만, 이 경우 고가용성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고가용성 그룹에 연결된 각 로드 밸런서 노드는 체계 및 유형, VPC가 고가용성 그룹에 지정된 값과 동일해야 합니다.
- 고가용성 그룹에 연결된 각 로드 밸런서 노드의 상세 설정이 동일해야 합니다. 이는 리스너의 속성, 최대 커넥션 설정, 프로토콜과 같은 설정이 포함됩니다.
- 고가용성 그룹에 연결된 각 로드 밸런서 노드가 정상적으로 작동되고 있는 상태여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