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드 관리하기
노드란 컨테이너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서버로, Kubernetes Engine에서는 동일한 인스턴스 유형을 가지는 노드 그룹인 노드 풀 단위로 노드를 관리합니다.
노드 풀 생성 및 관리
Kubernetes Engine 서비스에서 노드 풀을 관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노드 풀 생성
클러스터 를 먼저 생성한 후, 노드 풀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
카카오클라우드 콘솔 > Container Pack > Kubernetes Engine 메뉴로 이동합니다.
-
클러스터 메뉴에서 노드 풀을 생성할 클러스터를 선택합니다.
-
클러스터의 상세 페이지에서 노드 풀 탭을 클릭한 후, [노드 풀 생성] 버튼을 클릭합니다.
-
노드 풀 생성에서 정보를 입력하고, [생성] 버튼을 클릭합니다.
구분 설명 노드 풀 유형 생성할 노드 풀 유형을 선택 기본 설정 노드 풀의 기본 정보 설정
- 노드 풀 이름: 노드 풀 이름을 입력
- 노드 풀 설명(선택): 60자 이내로 노드 풀 설명 작성이미지 노드에 사용할 이미지를 1개 선택
- 노드 풀 유형에 따라 선택 가능한 이미지가 다름인스턴스 유형 노드 풀의 인스턴스 유형 선택
⚠️ 정상적인 Kubernetes Engine 서비스 이용을 위해 최소 2 vCPU, 4 GiB RAM 이상의 인스턴스 사용 필요볼륨 인스턴스의 볼륨 유형과 크기를 설정
- 현재 볼륨 유형은 SSD 유형으로 고정되어 있고, 볼륨 크기는 30 ~ 16,384GB 내에서 지정 가능
⚠️Bare Metal Server
유형 노드 풀은 설정 불가노드 수 노드 풀의 노드 개수 설정 노드 풀 네트워크 설정 노드가 실행되는 VPC와 서브넷을 선택
- VPC: 클러스터의 VPC와 동일하며, 별도 설정 불가
- 서브넷: 클러스터 생성 시 선택한 서브넷 중, 해당 노드 풀의 노드가 실행될 서브넷을 선택
ㄴ 다중 AZ를 지원하는 환경에서는 노드 풀의 네트워크를 서로 다른 가용 영역의 서브넷으로 다중 선택하여 가용성을 높일 수 있음
- 보안 그룹(선택): 노드에 적용할 보안 그룹키 페어 노드 풀에 속한 노드 인스턴스에 SSH 접근이 필요한 경우 키 페어 사용을 설정함
ㄴ 기존 키 페어를 선택 또는 신규 키 페어 생성 가능
ㄴ 신규 키 페어 생성 방법: 신규 키 페어 생성을 클릭한 후, 키 페어 이름 입력 후 [생성 및 다운로드]를 클릭하여 pem 파일을 다운로드
- 노드 풀에 지정한 키 페어는 인스턴스 세부 정보에 표시되지 않음
- 클러스터 생성 후에는 키 페어 변경이 불가하며, 변경 필요시 노드 풀을 새로 생성하여 설정 필요네트워크 본딩 Bare Metal Server
유형 노드 풀을 생성하는 경우, 네트워크 본딩 기능이 자동 적용됨
- 네트워크 본딩은 노드 풀 네트워크 설정에서 선택한 서브넷으로 생성되는 각 노드의 IP와 동일하게 2개의 인터페이스가 설정됨
- 단일 가용 영역만 가능고급 설정(선택) 노드 풀의 고급 정보 설정
- 노드 레이블(선택): 노드 풀에 있는 모든 노드에 적용될 Kubernetes 레이블 지정, 설정한 레이블은 nodeSelector와 함께 사용 가능
- 노드 테인트(선택): 노드 풀에 있는 모든 노드에 적용될 Kubernetes 테인트 지정, 설정한 테인트는 toleration과 함께 사용 가능
- CPU 멀티스레딩: CPU 코어당 단일 스레드를 지정하여 성능을 최적화하는 옵션 (일부 인스턴스 유형은 CPU 멀티스레딩 옵션이 필수)
ㄴ 고성능 컴퓨팅(HPC)과 같은 특정 워크 로드일 경우에는 비활성화 추천합니다.
ㄴ ⚠️Bare Metal Server
유형 노드 풀은 설정 불가
- 사용자 스크립트(선택): 노드 풀에 있는 모든 노드의 생성 시점에 실행할 쉘 스크립트 입력
ㄴ 노드에 별도 구성이 필요할 때 사용하며 최대 16KB까지 입력 가능, 한 번 설정한 사용자 스크립트는 변경 불가
노드 풀 설정
클러스터에 속한 노드 풀의 정보 및 노드 수를 확인하거나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카카오클라우드 콘솔 > Container Pack > Kubernetes Engine 메뉴로 이동합니다.
-
클러스터 메뉴에서 노드 풀 설정을 확인할 클러스터를 선택합니다.
-
클러스터 상세 페이지의 노드 풀 탭에서 설정할 노드 풀의 [더 보기] 아이콘 > 노드 풀 설정을 선택합니다.
-
노드 풀 설정 팝업창에서 정보를 확인합니다. 설정 수정 시, 정보를 입력하고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구분 설명 노드 풀 정보 노드 풀의 정보
- 노드 풀 이름: 변경 불가
- 노 드 풀 설명(선택): 현재 노드 풀 설명을 확인하거나 60자 이내로 수정 가능노드 수 현재 노드 풀의 노드 수
- 노드 수 변경 가능
노드 풀 상세 보기
노드 풀의 세부 정보와 해당 노드 풀에 속한 노드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카카오클라우드 콘솔 > Container Pack > Kubernetes Engine 메뉴로 이동합니다.
-
클러스터 메뉴에서 상세 정보를 확인할 노드 풀이 속한 클러스터를 선택합니다.
-
클러스터 상세 페이지에서 노드 풀 탭을 클릭한 후, 세부 정보를 확인할 노드 풀을 선택합니다.
-
노드 풀의 상세 페이지에서 정보를 확인합니다.
탭 구분 설명 세부 정보 키 페어 노드 풀의 노드에 설정된 키 페어 정보 생성일 노드 풀의 생성일 정보 볼륨 유형 노드 풀에 설정된 볼륨 유형 정보 이미지 노드 풀의 노드에 설치되어 있는 이미지의 상세 정보 노드 레이블 노드 풀에 설정된 노드 레이블 정보 노드 테인트 노드 풀에 설정된 노드 테인트 정보 사용자 스크립트 노드 풀에 설정된 사용자 스크립트 정보 네트 워크 VPC 클러스터의 VPC 정보 서브넷 해당 노드 풀의 노드가 실행되는 서브넷 정보 보안 그룹 노드 풀의 노드에 설정된 보안 그룹 스케일링 리소스 기반 오토 스케일링 리소스 기반 오토 스케일링 정책 생성 및 관리 예약 기반 오토 스케일링 예약 기반 오토 스케일링 정책 생성 및 관리
- 예약 기반 오토스케일 이벤트 조회노드 노드 노드의 정보
- 노드 이름 클릭 시, 노드 상세 페이지에서 노드 정보 확인 가능노드 상태 노드 상태의 정보
-Running
: 노드가 준비되어 실행 중
-Running (Scheduling Disable)
: 해당 노드로 신규 스케줄링 차단된 상태 (이미 할당되어 실행 중인 파드와는 무관)
-Provisioned
: 노드 프로비저닝 완료
-Deleted
: 노드 삭제 완료
-Pending
: 노드 프로비저닝 준비 중
-Provisioning
: 노드 프로비저닝 중
-Deleting
: 노드 삭제 중
-Failed
: 사용자의 개입이 필요한 실패 상태노드 풀 노드가 속한 노드 풀 정보 프라이빗 IP 노드의 프라이빗 IP 정보 가용 영역 노드가 실행되는 서브넷의 가용 영역 정보 가동 시간 노드가 생성 요청된 시점부터 현재까지의 시간의 합으로, 노드의 생성일을 의미하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