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건너뛰기

서브스크립션 생성 및 관리

서브스크립션 생성

토픽에 게시된 메시지는 서브스크립션을 통해 수신할 수 있습니다. 서브스크립션은 Pull, Push, Object Storage 세 가지 유형의 메시지 전송 방식을 제공합니다. Pub/Sub 서비스에서 서브스크립션을 만드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안내

서브스크립션은 프로젝트당 10개까지 생성할 수 있습니다.(Pub/Sub 쿼터(Quota) 상세보기)

  1. 카카오클라우드 콘솔 > Analytics > Pub/Sub 메뉴로 이동합니다.

  2. 서브스크립션 메뉴에서 [서브스크립션 생성] 버튼을 클릭합니다.

  3. 서브스크립션 생성에서 정보를 입력한 후, [생성] 버튼을 클릭합니다.

    기본 설정
    항목설명
    이름토픽 이름 설정
    토픽 선택서브스크립션을 생성할 토픽 선택
    유형유형별 상세 설정
    Pull : 사용자가 메시지 전송을 요청
    Push : Pub/Sub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Endpoint로 메시지를 전송
    Object Storage : 버킷으로 메시지를 전송
    서브스크립션 메시지 보존 기간서브스크립션의 메시지 보존 기간 설정
    - 기간 범위: 10분-7일 이내 설정
    - 토픽 메시지 보존 기간보다 같거나 작아야 함
    유형별 상세 설정

    Pull 유형

    항목설명
    재처리 횟수대기 시간까지 응답이 없으면, 메시지를 재처리할 횟수 지정
    - 횟수 지정 : 1-100번 이내
    - 무제한 처리 : 무제한으로 재처리
    응답 대기 시간메시지 확인 응답까지 대기하는 시간
    - 시간 범위: 10-600초(10분) 이내 설정

    Push 유형

    항목설명
    엔드포인트 URL토픽에 게시된 메시지를 수신할 엔드포인트 URL 입력
     - 프로토콜: HTTP/HTTPS
     - Push 허용을 위해 엔드포인트와 연결된 리소스의 보안 그룹 인바운드 규칙 설정 필요
    재처리 횟수대기 시간까지 응답이 없으면, 메시지를 재처리할 횟수 지정
    - 횟수 지정 : 1-100번 이내
    - 무제한 처리 : 무제한으로 재처리
    응답 대기 시간메시지 확인 응답까지 대기하는 시간
    - 시간 범위: 10-600초(10분) 이내 설정

    Object Storage 유형

    항목설명
    버킷메시지를 전송할 Object Storage의 버킷을 선택
    ⚠️ Object Storage에서 버킷이 생성되어 있어야 합니다.
    파일 형식버킷에 저장되는 출력 파일의 형식
    - Text : Text 파일 형식으로 저장(*현재 Text 형식만 지원)
    파일 Prefix(선택)설정 시 모든 출력 파일에 Prefix가 포함됨
    - 일부 특수문자(\ : * ? ” < > |) 및 Prefix 맨 앞에 슬래시('/') 입력 불가
    - 연속된 슬래시('//') 입력 불가
    ⚠️ Prefix 와 Suffix 합이 200bytes를 넘을 수 없습니다.
    파일 Suffix(선택)설정 시 모든 출력 파일에 Suffix가 포함됨
    - 일부 특수문자(\ : * ? ” < > |) 입력 불가
    - 연속된 슬래시('//') 입력 불가
    파일 배치 처리 최대 지속 시간설정한 시간 주기로 파일을 버킷에 저장
    - Min: 1 min
    - Max: 10 min
    - Default: 5 min

    ⚠️ 참고 :
    - interval 내에 최소 1번 파일이 생성됩니다.
    - interval 이전에도 파일이 생성될 수 있습니다.
    내보내기 채널 개수Object Storage로 메시지를 내보내기 위한 채널 개수를 설정
    - 메시지 양에 따라 채널 개수 조절 (단위 : 개)
    - Min: 1
    - Max: 16
    - Default: 1

    ⚠️ 설정한 채널 개수와 버킷에 출력되는 파일 개수는 다를 수 있습니다.
안내

Object Storage 유형의 서브스크립션 생성 시 버킷으로 메시지를 전송해 주는 내보내기 채널이 자동으로 활성화됩니다.
버킷으로의 메시지 전송을 중지하거나 재시작이 필요할 경우 서브스크립션 상세 페이지에서 [내보내기 시작], [내보내기 중지] 기능을 이용해 주세요.

서브스크립션 관리

Pub/Sub 서비스에서 서브스크립션을 관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서브스크립션 목록 보기

현재 생성된 서브스크립션 목록과 서브스크립션의 기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카카오클라우드 콘솔 > Analytics > Pub/Sub 메뉴로 이동합니다.

  2. 서브스크립션 메뉴에서 서브스크립션 목록을 확인합니다.

    구분설명
    필터필터를 통해 특정 서브스크립션을 조회하거나, 키워드로 검색
    - 선택한 항목은 AND 조건으로, 일반 키워드 검색은 OR 조건으로 동작
    이름사용자가 지정한 서브스크립션의 이름
    상태서브스크립션의 상태
    유형서브스크립션의 유형
    - Pull: 사용자가 메시지 전송을 요청
    - Push: Pub/Sub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Endpoint로 메시지를 전송
    - Object Storage: 버킷으로 메시지를 전송
    토픽 이름서브스크립션이 속한 토픽의 이름
    메시지 보존 보존기간서브스크립션의 메시지 보존기간
    응답 대기 시간메시지 응답까지 대기하는 시간
    내보내기 활성 상태Object Storage 유형일 경우 내보내기 채널 활성 상태
    생성자서브스크립션을 생성한 사용자
    [버튼 정보][수정]: 서브스크립션의 설정 사항을 수정
    [삭제]: 서브스크립션을 삭제
    [시점 되돌리기]: 서브스크립션의 시점을 되돌리기
    [내보내기 채널 설정]: Object Storage로의 메시지를 [내보내기 시작]/[내보내기 중지] 설정
    [서브스크립션 생성]: 서브스크립션을 생성
    [더보기][수정]: 서브스크립션의 설정 사항을 수정
    [삭제]: 서브스크립션을 삭제
    [시점 되돌리기]: 서브스크립션의 시점을 되돌리기
    [내보내기 시작]: Object Storage 서브스크립션일 경우, 메시지 내보내기 채널을 활성화
    [내보내기 중지]: Object Storage 서브스크립션일 경우, 메시지 내보내기 채널을 비활성화

서브스크립션 상세 보기

서브스크립션의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카카오클라우드 콘솔 > Analytics > Pub/Sub 메뉴로 이동합니다.

  2. 서브스크립션 메뉴에서 상세 정보를 확인할 서브스크립션을 선택합니다.

  3. 서브스크립션의 상세 페이지에서 정보를 확인합니다.

    기본 정보

    항목설명
    요약 정보- 유형 : 서브스크립션 유형
    - 상태 : 서브스크립션 상태
    - 내보내기 상태 : Object Storage로 메시지 내보내기 채널 활성화/비활성화 상태
    - 서브스크립션 메시지 보존 기간 : 서브스크립션의 메시지를 보존할 기간
    서브스크립션 이름서브스크립션의 이름
    서브스크립션 ID서브스크립션의 고유 ID
    서브스크립션 보존 기간서브스크립션의 메시지 보존기간
    미처리 메시지 개수처리되지 않은 메시지 개수
    *미처리 메시지 집계에는 어느 정도 시간이 소요되며, 재처리 횟수가 초과된 메시지는 집계에서 제외됩니다.
    생성자서브스크립션을 생성한 사용자
    생성 일시서브스크립션의 생성 일시
    [버튼 정보][수정]: 서브스크립션의 설정 사항을 수정
    [삭제]: 서브스크립션을 삭제
    [시점 되돌리기]: 서브스크립션의 시점을 되돌리기
    [내보내기 시작]: Object Storage 서브스크립션일 경우, 메시지 내보내기 채널을 활성화
    [내보내기 중지]: Object Storage 서브스크립션일 경우, 메시지 내보내기 채널을 비활성화
    유형 상세 정보

    유형별로 상세 설정 항목들이 다르며, 유형별 상세 설정 내용을 참고해 주세요.

서브스크립션 수정

서브스크립션의 상세 설정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안내

현재 서브스크립션 보존 기간은 연장만 가능합니다. 기간 축소 기능은 추후 업데이트 예정입니다.

  1. 카카오클라우드 콘솔 > Analytics > Pub/Sub 메뉴로 이동합니다.

  2. 서브스크립션 메뉴를 클릭 후, [더 보기] 아이콘 > 수정을 선택합니다.

  3. 서브스크립션 수정에서 서브스크립션 설정값을 변경하고,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공통

    항목설명
    서브스크립션 메시지 보존 기간서브스크립션의 메시지를 보존할 기간
    - 기간 범위: 10분-7일 이내 설정
    * 토픽 메시지 보존기간보다 작아야 합니다.

    Pull 유형 수정 항목

    항목설명
    응답 대기 시간메시지 응답까지 대기하는 시간
    - 시간 범위: 10-600초(10분) 이내 설정
    재처리 횟수대기 시간까지 응답이 없으면, 메시지를 재처리할 횟수 지정
    - 횟수 지정 : 1-100번 이내
    - 무제한 처리 : 무제한으로 재처리

    Push 유형 수정 항목

    항목설명
    엔드포인트 URLPush를 선택하고 생성 시 입력한 URL
     - 프로토콜: HTTP/HTTPS
    응답 대기 시간메시지 응답까지 대기하는 시간
    - 시간 범위: 10-600초(10분) 이내 설정
    재처리 횟수대기 시간까지 응답이 없으면, 메시지를 재처리할 횟수 지정
    - 횟수 지정 : 1-100번 이내
    - 무제한 처리 : 무제한으로 재처리

    Object Storage 유형 수정 항목

    항목설명
    버킷메시지를 전송할 Object Storage의 버킷 선택
    파일 형식버킷에 저장되는 출력 파일의 형식
    - 현재 Text 만 지원
    파일 Prefix(선택)설정 시 모든 출력 파일에 Prefix가 포함됨
    - 일부 특수문자(\ : * ? ” < > |) 및 Prefix 맨 앞에 슬래시('/') 입력 불가
    - 연속된 슬래시('//') 입력 불가
    ⚠️ Prefix 와 Suffix 합이 200 bytes를 넘을 수 없습니다.
    파일 Suffix(선택)설정 시 모든 출력 파일에 Suffix가 포함됨
    - 일부 특수문자(\ : * ? ” < > |) 입력 불가
    - 연속된 슬래시('//') 입력 불가
    파일 배치 처리 최대 지속 시간설정한 시간 주기로 파일을 버킷에 저장
    - Min: 1 min
    - Max: 10 min
    - Default: 5 min
      ⚠️미처리 메시지가 있을 경우 바로 적용되지 않을 수 있으며, 미처리 메시지가 모두 처리된 이후 수정을 권장합니다.
    내보내기 채널 개수Object Storage로 메시지를 내보내기 위한 채널 개수를 설정
    - 메시지 양에 따라 채널 개수 조절 (단위 : 개)
    - Min: 1
    - Max: 16
    - Default: 1

서브스크립션 시점 되돌리기

서브스크립션을 특정 시점으로 되돌리는 기능으로, 되돌린 시점 이후의 모든 메시지를 다시 받아볼 수 있습니다. 단, 토픽에서 보존기간이 만료된 메시지는 서브스크립션에서 시점을 되돌려도 다시 받아올 수 없습니다.

안내

서브스크립션이 속한 토픽 생성 시간 이전으로는 시점을 되돌릴 수 없습니다.

  1. 카카오클라우드 콘솔 > Analytics > Pub/Sub 메뉴로 이동합니다.
  2. 서브스크립션 메뉴에서 [더 보기] 아이콘 > 시점 되돌리기를 선택합니다.
  3. 서브스크립션 시점 되돌리기 팝업창에서 되돌릴 시점을 설정한 후, [되돌리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서브스크립션 삭제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서브스크립션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안내

삭제한 서브스크립션은 복구할 수 없습니다.

  1. 카카오클라우드 콘솔 > Analytics > Pub/Sub 메뉴로 이동합니다.
  2. 서브스크립션 메뉴에서 삭제할 서브스크립션의 [더 보기] 아이콘 > 삭제를 선택합니다.
  3. 서브스크립션 삭제 팝업창에서 삭제할 서브스크립션 이름을 입력하고 [삭제] 버튼을 클릭합니다.

서브스크립션 모니터링

서브스크립션의 모니터링 선택한 서브스크립션의 모니터링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안내

Subscription 모니터링 중 미처리 메시지 집계에는 어느 정도 시간이 소요되며, 재처리 횟수가 초과된 메시지는 집계에서 제외됩니다.

  1. 카카오클라우드 콘솔 > Pub/Sub 메뉴를 선택합니다

  2. 서브스크립션 메뉴에서 모니터링할 서브스크립션을 선택합니다.

  3. 모니터링 탭을 선택합니다.

    구분설명
    데이터 기간모니터링 그래프에 보일 데이터의 기간
    - 기간: 1시간(기본값) / 3시간 / 12시간 / 1일 / 7일
    뷰 모드모니터링 그래프 뷰 모드 설정
    - 1단, 2단, 3단 제공
    자동 새로고침 주기자동 새로고침 주기 설정
    - 주기: 자동 새로고침 안 함(기본값) / 10초 / 30초 / 1분 / 5분
    수동 새로고침클릭 시 모니터링 결과 새로고침

    PULL 서브스크립션 제공 데이터

    메트릭 이름단위설명
    초당 Pull 대비 확인 처리 메시지count/sPull 대비 초당 확인 처리 메시지 개수
    미처리 메시지count미처리 메시지 개수
    5분 간 시점 되돌리기 요청count5분 간 시점 되돌리기를 요청한 횟수
    초당 확인 처리 요청count/s확인 처리 요청의 초당 발생 횟수
    초당 Streaming Pull 응답count/sStreaming Pull 응답의 초당 횟수
    보관 데이터bytes서브스크립션에 보관된 데이터의 총 크기

    PUSH 서브스크립션 제공 데이터

    메트릭 이름단위설명
    초당 Push 대비 확인 처리 메시지count/sPush 대비 초당 확인 처리 메시지 개수
    미처리 메시지count미처리 메시지 개수
    5분 간 시점 되돌리기 요청count5분 간 시점 되돌리기를 요청한 횟수
    초당 확인 처리 요청count/s확인 처리 요청의 초당 발생 횟수
    초당 Push 요청count/sPush 요청의 초당 발생 횟수
    보관 데이터bytes서브스크립션에 보관된 데이터의 총 크기

    Object Storage 서브스크립션 제공 데이터

    메트릭 이름단위설명
    초당 처리 메시지count/sObject Storage로의 초당 내보내기 처리 메시지 개수
    미처리 메시지count미처리 메시지 개수
    5분 간 시점 되돌리기 요청count5분 간 시점 되돌리기를 요청한 횟수
    분당 Object Storage 내보내기 요청count/mObject Storage로의 분당 API 요청 횟수
    보관 데이터bytes서브스크립션에 보관된 데이터의 총 크기